부동산 관련/부동산 판례 15

임대인의 영업방해로 인한 손해배상청구 - 대법원 2006. 1. 27. 선고 2005다16591, 16607 판결

임대인의 영업방해로 인한 손해배상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게시글을 읽으면 임대인의 영업방해로 인한 손해배상을 알아두시는 것에 힘이 될 것입니다. 임대인의 영업방해로 인한 손해배상이 궁금하신 분들은 모두 읽어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제 아래에서 정보를 드리겠습니다.임대인의 영업방해임대인이 고의적으로 임차인의 영업을 방해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 해드리겠습니다.임대인이 고의성을 갖고임차인의 영업을 방해하거나(물건을 적치하여 통행을 방해 하는경우),현 임차인이 다음 세입자를 구하는것을 방해한 뒤(재건축이나, 구조변경을 명목으로 쫓아내려는 시도.)현임차인이 새로운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고 퇴거한 뒤에,임대인이 같은 업종에 비슷한 상호로 운영하는 사례가 있습니다.임대인이 현 임차인의 영업을 방해..

임대료 미납시 부가가치세 공제 가능 여부 - 대법원 2002. 11. 22. 선고 2002다38828 판결

임대료 미납시 부가가치세 공제 가능 여부에 대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문서를 끝까지 읽어주시면 임대료 미납시 부가가치세 공제 가능 여부를 알아두시는 것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임대료 미납시 부가가치세 공제 가능 여부가 궁금하시다면 끝까지 읽어주세요. 아래의 게시글로 알아봅시다.  임대료 미납시 부가가치세 공제 가능 여부    임대차 계약 해지 후부동산 임대차 계약에서 임대차가 종료된 후에도 임차인이 임차물을 계속 사용하거나 점유할 경우,그 임대료가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중요한 쟁점입니다.이번 글에서는임대차 계약 해지 후 임차인의 점유와 임대인이 임대료를 공제할 때 해당 금액이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법적 판례와 그 실생활에서의 적용을 다루겠습니다.사건의 배경 및..

임대차 종료 후 세입자 점유 및 부당이득 여부 - 대법원 1992. 4. 14 선고 91다45202,45219(반소) 판결

임대차 종료 후 세입자 점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 자료를 끝까지 읽고 나면 임대차 종료 후 세입자 점유를 알아두시는 데에 활용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임대차 종료 후 세입자 점유의 지식이 필요하면 모두 읽어주세요. 이제 아래에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임대차 종료 후 세입자 점유 임대차 종료 후 임차물 점유와 부당이득 반환 의무부동산 임대차 계약에서 임차인의 권리와 의무는 계약서에 명시된 내용과 법적인 규정을 바탕으로 합니다.임차인이 계약 기간 동안 주택이나 건물을 사용하는 동안은 임차보증금을 제공하고, 월세를 지불하며, 계약이 종료되면 임차물(부동산)을 반환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인 절차입니다.그러나때때로 계약 종료 후에도 임차인이 임차물을 점유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상황에서..

임차보증금 반환 범위 - 대법원 1987. 6. 23. 선고 87다카98 판결

임차보증금 반환을 공유하겠습니다. 이 포스트를 모두 읽어주시면 임차보증금 반환을 알게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임차보증금 반환의 정보가 필요하다면 전체 다 읽어주세요. 이제 아래에서 모두 공유해드리겠습니다. 임차보증금 반환1. 임차보증금의 정의 : 왜 중요한가?   보증금의 역할 임차보증금이란 무엇인가?임차보증금은 임대차 계약을 체결할 때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맡기는 금전적 담보입니다. 보증금은 계약 종료 시 임차인에게 반환되며, 임대인은 임차인이 월세를 미납하거나 주택 내 시설을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그 손해를 보상받기 위해 보증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임대인은 임대차 계약이 안정적으로 진행되도록 보호받으며, 임차인은 계약이 종료되면 보증금을 돌려받게 됩니다.예시: 예를..

임대인의 임차물 사용 수익 유지의무 - 임차인의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선관주의의무) - 대법원 1994. 10. 14. 선고 94다38182 판결

임대인의 임차물 사용. 수익 유지의무 및 임차인의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 자료를 읽어주시면 임대인의 임차물 사용. 수익 유지의무 및 임차인의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이해하시게 될 것입니다. 임대인의 임차물 사용. 수익 유지의무 및 임차인의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의 지식이 필요하다면 끝까지 읽어주세요. 이제 아래에서 모두 공유해 드리겠습니다.임대인의 임차물 사용. 수익 유지의무주택 또는 상가에 대해서 임대차 계약이 이루어졌다면임대인은임차인이 계약상 원하는 목적대로 임차물을 사용. 수익 할 수 있도록그 상태를 유지해야 할 의무가 발생하게 됩니다.예를 들면주택의 경우보일러가 고장 난 경우에는임대인의 비용으로 수리를 해줘야 합니다.또는베란다 유리창이 깨진 경우 (임차인의 고의 과..

대리계약(위임계약) 주의할 점 - ( 대법원 2009.05.28 선고 2008다56392 판결 )

대리계약 매매계약 또는 임대차 계약을 하는 과정에서 상대방 측에서 대리계약(위임계약)을 하겠다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 매매계약을 하는데 아파트의 소유자는 남편 홍길동인데, 아내인 영희가 대신 와서 계약을 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또는 소유자가 어머니 인데, 아들이 대신 와서 계약을 하는 등. 등기상의 소유자가 아닌, 가족이 대신와서 계약을 하는 것을 실무에서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등기상 소유자가 아닌 타인이 와서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대리계약(위임) 이라고 합니다. 대리계약 법적 요건 민법상 대리계약의 요건은 1. 신분증 + 위임장(본인의 자필 서명/날인) 이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또는 2. 인감증명서 + 위임장(본인의 자필 서명/날인) 으로도 유효합니다. 또는 3..

동시이행의 항변권(대법원 98다53899) - 임대보증금 반환

https://hyun-88.tistory.com/entry/%EB%A7%A4%EB%A7%A4-%EC%9E%94%EA%B8%88-%EC%A0%84%EC%84%B8-%EC%9E%94%EA%B8%88%EC%9D%84-%EC%A7%80%EA%B8%89%ED%95%98%EC%A7%80-%EC%95%8A%EC%9D%80-%EA%B2%BD%EC%9A%B0-%EB%A7%A4%EB%8F%84%EC%9D%B8%EC%9D%B4-%EA%B3%84%EC%95%BD%EC%9D%84-%EC%9D%B4%ED%96%89%ED%95%98%EC%A7%80-%EC%95%8A%EC%9D%80-%EA%B2%BD%EC%9A%B0-%EB%8C%80%EB%B2%95%EC%9B%90-19920714-%EC%84%A0%EA%B3%A0-92%EB%8B..

매도인 하자담보책임 - 민법 제582조 (대법원 2000.01.18. 98다18506)

매도인 및 하자담보책임을 공유해드리겠습니다. 이 문서를 끝까지 읽으면 매도인 및 하자담보책임을 알아두시는 데에 기여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매도인 및 하자담보책임의 지식이 필요하다면 끝까지 읽어주세요. 이제 아래에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매도인 부동산 매매계약에서 매도인이란 부동산을 파는 사람을 말합니다. 매도인은 자신의 부동산을 이전할 의무가 있으며, 매수인에게 대금 지급 청구권을 갖게 됩니다. 하자담보책임 부동산을 매수 한다는 것은 매수인 입장에서 적지 않은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런데 매수한 부동산에서 하자가 발생하였다면, 매수인 입장에서는 화가 날 것입니다. 매수하기 전에는 하자가 있는지 몰랐으나 살고나서부터 하나 둘씩 하자가 발생하면 참으로 난감하고 속상하게 됩니다. 또는 건물을 짓..

원상복구의무 - 임차인 원상복구 - 임대차 화재

원상복구 및 화재에 대하여 소개하겠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고 나면 원상복구 및 화재를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원상복구 및 화재의 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은 모두 읽어주세요. 이제 아래에서 정보를 드리겠습니다. 원상복구 원상복구란 민법 제615조(차주의 원상회복의무와 철거권) "차주가 차용물을 반환하는 때에는 이를 원상에 회복해야 한다. 이에 부속시킨 물건은 철거할 수있다. " 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즉, 임대차 계약의 당사자인 임차인은 임대차 계약기간이 만료되어, 임대차의 목적물을(집 or 점포)을 임대인에게 반환할 때는 그 목적물을 처음 임대차계약을 체결할 시점의 상태로 되돌려 놓으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민법에서 정해놓은 임차인의 원상복구 의무 입니다. 예를들어, 실무에서 이런경우를 볼수 있습니다. ..

매매 잔금 미지급 & 전세 잔금 미지급 & 계약 불이행( 대법원 2008. 10. 23. 선고 2007다54979 판결 )

매매 잔금 미지급 매수인이 매매잔금을 지급하지 않은 경우 계약 당사자중 일방인 매수인이 매매잔금을 지급하지 않은 경우에는 계약 상대방인 매도인에게 2가지 선택권이 있습니다. 첫째, 부동산 계약서 작성시 위약금으로 약정한 계약금을 '몰수'하고 계약을 해제하는 방법. 둘째,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부동산의 계약서대로 계약을 이행할 것을 청구하는 것입니다. 이런경우 계약 이행의 청구와는 별도로 손해배상도 함께 청구가 가능합니다. 매수인이 계약의 채무를 불이행하였다면, 매도인의 입장에서는 부동산의 가격이 상승 하였다면, 첫 번째 방법이 좋을 테고, 부동산의 가격이 하락하였다면, 두 번째 방법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단, 매도인은 첫 번째 방법이던, 두 번째 방법이던, 선택하기 전에 먼저 해야 할 '의무'가 있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