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2

민법 2교시

3절 민법의 기본원리 근대 시민사회는 종래의 봉건적 속박으로부터 개인을 해방하기 위하여 신분과 재산에 대한 자유주의와 개인주의를 사상적 기초로 삼았습니다. 그리고 이에 근대 민법의 3대 기본원칙으로 나타난 것이 법률 행위자유의 원칙, 소유권 절대의 원칙, 과실책임의 원칙입니다. 그러나 그 후 자본주의 하에서 빈부의 격차가 심화하고 경제적 강자와 약자의 대립이 격화됨에 따라 이러한 기본원칙들은 공공복리의 원칙에 따라 일정한 수정을 거치게 됩니다. 법률 행위 자유의 제한, 공공복리에 의한 소유권의 제한, 과실책임의 수정 등이 그 주요 내용으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다만 근대 민법의 3대 원칙을 주요 골자로 할 것인지 아니면 이에 대한 수정 원리를 주요 골자로 할 것인지에 대하여는 자유주의적 보수주의와 진보적 ..

법학/민법학 2020.10.26

민법 1교시

PART 01. 민법 총칙 ​ Chapter 01 통칙 ​ 1절 민법의 의의 - 형식적 의미의 민법과 실질적 의미의 민법 (1) 형식적 의미의 민법은 민법이라는 이름의 성문 법전, 즉 민법전을 의미합니다. ① 반면 실질적 의미의 민법은 모든 사람의 생활관계(재산관계와 가족관계)를 규율하는 실체법으로서의 일반 사법을 의미합니다. ② 형식적 의미의 민법에는 실질적 의미의 민법에 속하지 않는 규정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법인의 이사 등에 대한 벌칙규정(제97조), 강제이행에 관한 규정(제389조)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처럼 실질적 의미의 민법과 형식적 의미의 민법은 일치하지 않습니다. ​ (2) 사법과 공법의 구별 실익 ① 지도원리가 다릅니다. 예컨대 전자는 사적 자치의 원칙이 지배적이어서 원칙적으로 사인 간..

법학/민법학 2020.10.26